Python
Python 자료형 - 숫자형, 연산자, 변수, 부동소수
박뮤트
2021. 12. 19. 16:56
숫자형
1. 정수형: 소수점이 포함되지 않은 숫자
예) a = 123
2. 실수형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
예) a = 1.2
10의 거듭제공을 표현하기 위해 대소문자 상관없이 e라는 문자를 쓰기도 한다.
예) a = 3.14e10
드물게 사용하지만 8진수, 16진수도 존재한다.
3. 8진수: 숫자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o로 시작한다.
예) a = 0o13
4. 16진수: 숫자 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x로 시작한다.
예) a = 0x82
*파이썬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형태이다.
연산자
더하기: +
빼기: -
곱하기: *
나누기: /
제곱: **
예) 2**3: 2의 3제곱을 의미한다.
나눗셈을 한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: %
예) 10%3 = 1
나눗셈을 한 후 몫을 반환하는 연산자: //
예) 7//4 = 1
변수
변수: 값이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에 주어진 이름
변수 | 01010111(메모리) |
부동소수
부동소수: 실수를 컴퓨터 상에서 표현할 때 근사하는 방식의 하나. 컴퓨터 상에서 넓은 범위의 수를 나타내는데 유리하지만 실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. 단, 실제 값과의 차이가 항상 10의 -15제곱(시스템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음)보다 작게 되므로 소수점 특정 자리수까지만 비교하면 된다.
(출처: 위키피디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