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데이터사이언스 스쿨
- 재귀함수
- 데이터분석
- 딕셔너리
- 함수
- NLP
- 제로베이스 데이터사이언스
- 머신러닝
- 속성
- 파이썬코딩도장
- 아이펠
- numpy
- 자연어처리
- 코딩도장
- TensorFlow
- 클래스
- 딥러닝
- 스크랩
- 사이킷런
- 파이썬
- 데이터사이언티스트
- 후기
- AIFFEL
- Python
- 추천시스템
- 제어문
- Set
- 기사
- 카카오
- AI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80)
뮤트 개발일지
문자열 문자열(string): 문자, 숫자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. 따옴표('') 혹은 쌍따옴표("")로 둘러싸서 만든다. 예) a = 'Hello world' \(백슬래시): escape 문자 - \\: \ 예) print("\\Hello world\\") ---> \Hello world\ - \n: 줄변경 예) print("Hello \n world") ---> Hello (줄바꿈) world - \': ' 예) print("\'Hello world\'") ---> 'Hello world' - \t: 탭 예) print("Hello \t world") ---> Hello world '''("""): 여러 줄에 걸친 문자열은 쌍따옴표 혹은 따옴표 세 개 안에 쓴다. 예) a = ''' Hello ..

숫자형 1. 정수형: 소수점이 포함되지 않은 숫자 예) a = 123 2. 실수형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예) a = 1.2 10의 거듭제공을 표현하기 위해 대소문자 상관없이 e라는 문자를 쓰기도 한다. 예) a = 3.14e10 드물게 사용하지만 8진수, 16진수도 존재한다. 3. 8진수: 숫자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o로 시작한다. 예) a = 0o13 4. 16진수: 숫자 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x로 시작한다. 예) a = 0x82 *파이썬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형태이다. 연산자 더하기: + 빼기: - 곱하기: * 나누기: / 제곱: ** 예) 2**3: 2의 3제곱을 의미한다. 나눗셈을 한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: % 예) 10%3 = 1 나눗셈을 한 후 몫을 반환하는 연산자: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