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함수
- 제로베이스 데이터사이언스
- 기사
- 클래스
- 자연어처리
- 재귀함수
- 스크랩
- 파이썬
- 딥러닝
- 후기
- 딕셔너리
- AI
- 데이터사이언티스트
- 속성
- AIFFEL
- 코딩도장
- Python
- 제어문
- 데이터사이언스 스쿨
- 카카오
- 추천시스템
- 머신러닝
- 아이펠
- numpy
- 파이썬코딩도장
- TensorFlow
- 사이킷런
- 데이터분석
- Set
- NLP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80)
뮤트 개발일지
함수 기본 구조 def 함수이름(x1, x2, x3): 문장1 문장2 return y 예) def hello(): print('hello') def addition(a, b): return a+b def add_and_multiple(a, b): return a+b, a*b 매개변수 def 함수이름 (x1, x2, x3): return y 여기서 x1, x2, x3과 같이 입력값을 매개변수라고 부른다. 매개변수의 기본값을 지정할 때 def addition(a=1, b=2): return a+b - 위의 상황에서 addition(3)을 입력하면: 3+2 = 5 출력 - 위의 상황에서 addition(b=1)을 입력하면: 1+1 =2 *주의: addition(a=3,2)와 같은 표현은 불가능하다. 입력값이 ..
while 문의 기본 구조 while 조건: 코드 => 조건이 참인 동안 계속해서 코드를 실행한다. 예) i = 0 while i
for 문 기본 구조 for문은 조건을 평가하는 대신 순서열을 순회하며 반복적으로 코드를 실행한다. for 반복변수 in 순서열: 코드블록 예) for i in [1,2,3,4]: print(i) 순서열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형식에는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이 있고, 순서열은 아니지만 셋이나 딕셔너리도 들어갈 수는 있다. range 함수 range(num1, num2): num1에서 num2 직전까지 1씩 증가하면서 만들어진 순서열 예) for i in range(0, 5): print(i) (0부터 5 직전까지 증가하면서 for문 순회) range(num): 0에서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하여 num 직전까지 증가하며 만들어진 순서열 range(num1, num2, 간격): range(num1, n..
if 문의 기본 구조 if 조건문: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.... else: 수행할 문장x 수행할 문장y : 조건문을 확인하여 참일경우 if의 코드 블록을 수행하고, 거짓일 경우 else의 코드블록을 수행 조건문이 여러 개일 때 if 조건1: 문장 elif 조건2: 문장 elif 조건3: 문장 .... else: 문장 조건문을 한 줄로 표현하기 if 조건: 문장1 else 문장2 or 문장1 if 조건1 else 문장2
Boolean type ture or false 의 두가지만 있는 경우 변수 a와 변수 b가 있을 때, a > b : a가 b보다 크면 참,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 a = b : a가 b보다 같거나 크면 참을,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 a y and a > b : x가 y보다 크고 a가 b보다 크면 참 (둘 다 참일 경우만 참) x > y or a > b :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 반환 식별 연산자: 같은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지 판단 is : 같은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면 참 is not : 다른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면 참 변수 변경 후 할당 연산자들 += :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더하고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 예) a +=..
딕셔너리 dictionary 딕셔너리: key:value 형태로 주어진 데이터들의 집합 {key1:value1, key2:value2, key3:value3, ...} - key값은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, value 값은 변경 가능하다. * list와 같이 값이 변할 수 있는 것은 키가 될 수 없다. - key의 순서는 없으며, key는 중복될 수 없다. - key의 자료형에는 제한이 없지만, 일반적으로 문자열을 쓴다. - key에 대응되는 value를 가져오고 싶으면 dictionary[key]를 입력한다. dictionary 만들기 1. 빈 딕셔너리 만들기 dict1 = {} or dict1 = dict() 2. 딕셔너리에 key, value 입력하기 dict[1] = 2 dict[3] = 4 ..
순서형 순서형: 값들이 연속적으로 저장된 형태, 문자열로 순서형. 그 외에 대표적으로 리스트list와 튜플tuple이 존재한다. 순서형의 공통된 연산으로, 인덱싱: a[3] 슬라이싱: a[0:3] 연결하기: + 반복하기: * 멤버 검사: in 길이 반환: len() 등이 있다. 리스트 list 리스트 = 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 ] []대괄호를 사용한다. 예) a = [1, 2, 3] a = ['as', 'sd', 'df'] a = [1, 2, 'as'] a = list() a = [] 다중 리스트 예) a = [1, 2, 3, [1, 2, 3]] a[3][2] = 3 * 다중 리스트에서도 슬라이싱 인덱싱이 가능하다. 리스트의 수정 a = [1, 2, 3] a[2] = 4 ---> a = [1..
주요 문자열 함수 len(문자열): 문자열 길이를 반환 문자열.startswith(문자열2): 문자열이 문자열2로 시작하는지 판단 문자열.endswith(문자열2): 문자열이 문자열2로 끝나는지 판단 문자열.find(문자열2): 문자열 안에 문자열2가 있는지 판단하고, 있을 경우 위치 반환. 없을 경우 -1 반환 문자열.count(문자열2): 문자열 안에 문자열2가 몇 번 나오는지 반환 문자열.strip(): 양 옆의 공백 제거 format 포맷팅: 같은 문자열 안에 서로 다른 문자를 넣고 싶을 때 사용 방법1) 문자열 안에 {}를 넣는 방법 예) print("현재 시간은 {}시 입니다.".format(7)) ---> 현재 시간은 7시 입니다. 방법2) 문자열 안에 %를 넣는 방법 예) print("현재..
문자열 문자열(string): 문자, 숫자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. 따옴표('') 혹은 쌍따옴표("")로 둘러싸서 만든다. 예) a = 'Hello world' \(백슬래시): escape 문자 - \\: \ 예) print("\\Hello world\\") ---> \Hello world\ - \n: 줄변경 예) print("Hello \n world") ---> Hello (줄바꿈) world - \': ' 예) print("\'Hello world\'") ---> 'Hello world' - \t: 탭 예) print("Hello \t world") ---> Hello world '''("""): 여러 줄에 걸친 문자열은 쌍따옴표 혹은 따옴표 세 개 안에 쓴다. 예) a = ''' Hello ..
숫자형 1. 정수형: 소수점이 포함되지 않은 숫자 예) a = 123 2. 실수형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예) a = 1.2 10의 거듭제공을 표현하기 위해 대소문자 상관없이 e라는 문자를 쓰기도 한다. 예) a = 3.14e10 드물게 사용하지만 8진수, 16진수도 존재한다. 3. 8진수: 숫자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o로 시작한다. 예) a = 0o13 4. 16진수: 숫자 0과 대소문자 상관없이 알파벳 x로 시작한다. 예) a = 0x82 *파이썬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형태이다. 연산자 더하기: + 빼기: - 곱하기: * 나누기: / 제곱: ** 예) 2**3: 2의 3제곱을 의미한다. 나눗셈을 한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: % 예) 10%3 = 1 나눗셈을 한 후 몫을 반환하는 연산자:..